목록메뉴 (531)
Recorder & Life Story
모리스 스테거가 아르모니아 문디(Harmonia Mundi)의 데뷔작 텔레만에 이어 두 번째로 삼마르티니의 소나타에 도전했다. 최근 들어 더이상 클라베스(Claves)에서 그의 모습을 보기 어려운 것으로 봐서는 완전히 HM로 이적한 것이 아닌가 싶다. 주세페 삼마르티니, 그는 그의 동생 지오반니 바티스타와 더불어 바로크 시대의 대표적인 작곡가의 반열에 올라있다. 하지만, 그의 리코더 작품은 사실 F 장조의 협주곡 외에는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여러 음반 속에서 간간이 그의 작품들은 낱곡으로 소개될 뿐 그의 소나타만을 어우른 음반은 드물었다. 그나마 앙상블 메디올라눔의 음반이 꽤나 오래전에 삼마르티니를 소개했었지만, 뛰어난 연주에 비해 지명도는 떨어졌었다. 이제 오늘날 최고의 기량을 보이는 ..
Marco Uccellini-Aria sopra "La Bergamasca" Il Giardino Armonico 보통 이 작품은 두 대의 바이올린, 혹은 바이올린과 리코더, 또는 리코더 두 대로 연주되곤 한다. 일 지아르디노 아르모니코의 연주는 세 번째의 편성으로 된 연주이며, 무엇보다도 루카 피앙카의 열연이 곡 전체를 밝고 유쾌하게 전개시켜 나가는데 한 몫 단단히 한다.
로렌조 카바산티와 파비오 비온디? 사실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평소 들어왔던 로렌조 카바산티의 음악은 비온디의 성향과는 많이 틀리다는 느낌을 받아왔기 때문이다. 상냥하고 부드럽고 투명한 음색이 카바산티의 것이라 생각했는데, 격렬한 비온디와 함께라니!! 역시나 첫 트랙부터 예상은 빗나가지 않았다. 텔레만의 d 단조 트리오 소나타에서 격렬한 비온디의 보잉에 비해 카바산티의 음색은 상대적으로 빈약하게 들렸다. 트리오 소나타라는 것이 두 독주자가 경쟁하듯이 힘겨루기를 하면서도 평행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들의 연주에는 손에 땀을 쥐게 만드는 아슬아슬함 보다는 이미 한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느낌이 더 강하다. 그래도 이 음반에서 최고의 연주를 꼽으라고 한다면 단연 첫 번째 연주인 d단조, 그 중에서도..
리코더 연주자 홈페이지 A ● Piers Adams : http://www.piersadams.com ● Sabine Ambos : http://www.sabine-ambos.de ● Amsterdam Loeki Stardust Quartet : http://www.loekistardust.nl B ● Pieter Jan Belder : http://www.ibizweb.nl/belder/ ● Kees Boeke : http://www.o-livemusic.com/ ● Vicki Boekiman : http://www.vickiboeckman.com ● Erik Bosgraaf : http://www.erikbosgraaf.com ● Rachel Brown : http://www.rachelbrownfl..